참고URL : http://hsp1116.tistory.com/33


대학시절 알고리즘 시간에 배우는 아주 기본적인 정렬방법들인데,,

위 URL 블로거분이 알고리즘 코드와 설명이 자세히 포스팅해두셨다.

버블정렬은 은유적인 네이밍덕에 어떤 알고리즘인지 금방 연상이 되는데

선택, 삽입정렬은 헷갈린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머리에 기억해야지..


결론적으로 이 세가지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시간복잡도 O(n^2)을 따르지만,(인덱스를 하나하나 접근하여 비교하므로)

삽입정렬 최선의 경우 미리 정렬된 상태일 때 O(n)에 해당되는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버블정렬의 경우 별도의 스위치 장치를 해두면 미리 정렬되어 있을 경우 O(n)만큼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Develop Issue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리막 길 / DFS 깊이우선탐색  (0) 2024.05.18
BFS (Breadth-First Search) 너비우선탐색  (1) 2024.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