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Free-tier는 이전에도 사용경험이 있고 상세한 설치 설명도 구글검색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서 언제든 신속하게 환경구성을 할 수 있도록 저만의 가이드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가상서버 EC2를 구성해야하는데요, 어떤 OS를 선택할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했습니다.
일반적으로 AMI와 Redhat, Unbuntu.. 등등 여러가지 시스템환경을 지원하는데요
이번 프로젝트의 경우 Redhat을 이용하여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AMI는 AWS에서 지원하는 리눅스지만, 안정성 면에 있어서는 타 리눅스 계열과 비교적 취약하다는 의견들이 많이 보입니다.
Ubuntu는 제가 학생이었을 때 여러차례 다루어본 바 있고 이미 너무 유명한 제품이지만 상용에서 쓰는 것을 그리 많이 보진 못하였습니다.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에서 많이 쓰는 리눅스 계열은 Redhat 데비안 쪽을 많이 이용한다고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https://serverfault.com/questions/275736/amazon-linux-vs-ubuntu-for-amazon-ec2
https://okky.kr/article/395579?note=1245081
Free-tier의 서버 스펙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EC2 : 월 750시간의 Linux, RHEL 사용
- CPU 1 core
- Memory 1GiB
- EBS : 30GB
EC2를 Free-tier에서 선택가능한 옵션으로 생성해줍니다.
EC2는 참고로 재부팅할때마다 공인IP가 변경되기 때문에
Elastic IP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Free-tier는 1개 EC2에 연결하는 것이 무료 입니다.
참고적으로 연결해둔 상태로 EC2를 끄고있으면 과금이 된다고하네요.(공인 IP는 한정적인 자원이므로 이러한 정책이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Elastic IP를 생성하고 아까 생성한 EC2에 릴리즈해주면, Elastic IP로 EC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앞서 요약한것과 같이 Free-tier에서는 EBS가 30GB입니다. EBS는 가상 스토리지로써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EC2의 SSD는 웹서버로 이용하고, EBS를 유저들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맨처음 EC2를 만들면서 자동생성된 EBS는 10GB밖에 안됩니다.. 첨부터 30GB로 해주지 ㅡㅡ;;
저는 이걸 AWS콘솔에서 30GB로 변경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실서버에서는 이미 파티션을 10GB로 잡고 있기때문에 직접 변경해주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https://sfixer.tistory.com/entry/%EB%94%94%EC%8A%A4%ED%81%AC-%EB%B3%BC%EB%A5%A8-%EC%82%AC%EC%9D%B4%EC%A6%88-%EC%A6%9D%EA%B0%80%EC%8B%9C%ED%82%A4%EA%B8%B0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recognize-expanded-volume-linux.html
이렇게 기본적인 서버 인프라는 갖추었으니 LAMP 환경을 구축하고 마무리 지었습니다.
LAMP에 대한 설치 프로세스는 위키메뉴의 Reference에서 관련된 문서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Develop Issu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 명령어로 특정 기간동안 추가, 수정 된 파일 찾기 (499) | 2019.06.03 |
---|